반응형
손목 통증과 관련된 모든 질병코드 및 상세 설명
손목 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, 관절 질환, 힘줄 및 인대 손상, 신경 압박, 골절 및 외상, 과사용 증후군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. 손목 통증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 청취, 신체 검사, 영상 검사(X-ray, MRI, 초음파 등) 및 신경학적 검사가 필요하다.
아래는 손목 통증과 관련된 모든 질병코드(ICD-10 기준)와 상세한 설명을 정리한 내용이다.
1. 손목 관절 관련 질환 (Arthropathies of the Wrist)
M19.0 – 원발성 손목 관절증 (Primary Osteoarthritis of Wrist)
- 정의: 손목 관절의 연골이 퇴행성 변화로 인해 점진적으로 닳아 발생하는 관절염
- 원인: 노화, 유전적 요인, 반복적인 손목 사용
- 증상:
- 손목의 만성적인 통증과 뻣뻣함
- 아침에 심한 관절 경직, 시간이 지나면 완화됨
- 손목을 사용할 때 뼈가 갈리는 듯한 느낌 (관절 마찰음)
- 관절 부위의 붓기 및 움직임 제한
- 진단 방법: X-ray 촬영을 통해 연골 소실, 골극(뼈돌기) 확인
M19.2 – 외상 후 손목 관절증 (Post-Traumatic Osteoarthritis of Wrist)
- 정의: 손목 골절, 탈구, 인대 손상 등의 외상 후 발생하는 이차성 관절염
- 원인:
- 과거 손목 골절, 인대 손상이 제대로 회복되지 않은 경우
- 지속적인 충격으로 연골이 손상되어 관절염으로 진행
- 증상:
- 손목을 움직일 때 통증 및 경직
- 특정한 움직임에서 심한 통증 유발
- 관절 마찰음 및 붓기
- 치료: 물리치료, 보조기 착용,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 (관절경, 인공관절 치환술 등)
M19.9 – 상세 불명의 손목 관절증 (Unspecified Osteoarthritis of Wrist)
- 정의: 특정한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손목 관절염
- 특징:
-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
- 손목 통증 및 기능 저하
- 영상 검사에서도 명확한 원인이 드러나지 않는 경우
2. 손목 건초염 및 힘줄 질환 (Tendinopathies and Tenosynovitis of the Wrist)
M65.3 – 드퀘르벵 건초염 (De Quervain's Tenosynovitis)
- 정의: 엄지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(장무지외전근, 단무지신전근)의 염증 및 협착
- 원인:
- 스마트폰 사용, 컴퓨터 마우스 조작
- 반복적인 손목과 엄지 사용 (육아, 피아노 연주, 골프, 테니스 등)
- 증상:
- 엄지손가락을 움직일 때 심한 통증
- 엄지와 손목 연결 부위의 붓기
- 핀켈슈타인 검사(Finkelstein test)에서 통증 유발
- 치료: 손목 보호대 착용, 소염제 복용, 물리치료, 스테로이드 주사
M65.4 – 손목의 기타 건초염 (Other Tenosynovitis of Wrist)
- 정의: 드퀘르벵 건초염 이외의 힘줄 염증 질환
- 원인:
- 손목 사용이 많은 직업군(요리사, 미용사, 프로게이머 등)
- 손목 과사용 및 외상
- 증상:
- 손목을 구부리거나 펴는 동작에서 힘줄 부위의 통증
- 손목을 움직일 때 마찰음(crepitus) 발생 가능
- 치료: 안정, 소염제 복용, 물리치료, 주사 치료
3. 손목 신경 관련 질환 (Nerve Compression Syndromes of the Wrist)
G56.0 – 손목터널증후군 (Carpal Tunnel Syndrome, CTS)
- 정의: 손목의 정중신경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질환
- 원인:
- 장시간 키보드 사용, 반복적인 손목 동작
- 임신, 당뇨병, 갑상선 기능 저하증
- 증상:
- 손바닥과 손가락(엄지, 검지, 중지)의 저림 및 감각 둔화
- 심하면 근육 위축 및 악력 감소
- 야간에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
- 진단:
- 틴넬 징후(Tinel’s sign) 검사
- 팔렌 검사(Phalen’s test)
- 근전도 검사(EMG)
- 치료: 손목 보호대 착용, 소염제 복용, 스테로이드 주사, 심한 경우 수술
4. 손목 골절 및 외상성 질환 (Wrist Fractures and Trauma)
S62.0 – 손목의 골절 (Fracture of Wrist Bone)
- 정의: 손목뼈(주로 요골 원위부)가 골절되는 손상
- 원인:
- 넘어지면서 손을 짚는 경우(FOOSH: Fall On Outstretched Hand)
- 스포츠 활동 중 손목 부상
- 증상:
- 손목의 심한 통증과 부종
- 변형 및 움직임 제한
- 치료: 석고 고정, 수술(금속판 및 나사 고정)
S63.2 – 손목의 탈구 (Dislocation of Wrist)
- 정의: 손목 관절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는 상태
- 원인: 손목에 갑작스러운 충격
- 증상: 관절 변형, 심한 통증, 움직임 제한
- 치료: 정복술(Dislocation reduction), 석고 고정, 물리치료
5. 기타 손목 관련 질환 (Other Wrist Disorders)
M77.1 – 손목 과사용 증후군 (Overuse Syndrome of Wrist)
- 정의: 반복적인 손목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로성 손상
- 원인:
- 장시간의 컴퓨터 작업
- 악기 연주, 운동 과사용
- 증상:
- 손목 통증, 뻣뻣함
- 특정 동작에서 심해지는 통증
- 치료: 작업 환경 조정, 스트레칭, 손목 보호대
M79.6 – 손목의 근막통증 증후군 (Myofascial Pain Syndrome of Wrist)
- 정의: 손목의 근육과 근막이 긴장하여 발생하는 만성 통증
- 원인: 근육의 피로 누적
- 치료: 마사지, 스트레칭, 체외충격파 치료
결론
손목 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, 단순한 피로에서부터 심각한 신경 압박, 골절까지 다양한 원인이 있다. 정확한 진단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며, 예방을 위해 손목 스트레칭과 올바른 자세 유지가 필수적이다.
반응형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어깨통증 원인과 해결법 총정리 (0) | 2025.04.02 |
---|---|
손톱 갈라짐, 진균성 손톱 감염 (2) | 2025.03.29 |
잇몸 질환 총정리 (1) | 2025.03.15 |
질병 코드 이야기 | M54.5 (요통, Low Back Pain) (2) | 2025.03.15 |
입냄새 없애는 방법 100% 확실 (1) | 2025.03.14 |